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여름 다이어트 주의!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급성 담낭염’에 대해 알아보자

by 용용제리파파 2023. 6. 24.
반응형

최근 한 20대 여성이 2개월 만에 8kg을 감량한 뒤 급성 담낭염으로 병원에 입원하는 사례가 발생했다고 한다. 급성 담낭염은 담석이 담낭에서 담즙이 나가는 통로를 막아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심한 복통과 구토, 고열 등의 증상을 보인다.

 

 

급성 담낭염의 원인과 위험인자

  • 급성 담낭염의 원인
    원인은 대부분 담석때문이다. 담석은 담즙에 포함된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 등이 결정화되어 만들어지는 돌모양의 물질이다. 담석이 담낭에서 담즙이 나가는 통로인 담낭관을 막아 염증을 일으키면서 급성 담낭염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다만 담석이 생기는 원인은 환자의 유전·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연관돼 있어 정확한 원인은 알기 어렵다.
  • 급성 담낭염의 위험인자
    급성 담낭염의 위험인자로는 여성, 임신, 비만, 고지방 식단, 고령, 당뇨병, 흡연 등이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젊은 층 사이 ‘초절식 다이어트’ 등이 유행하면서 담석증을 앓는 젊은 환자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한다.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면서 식사량을 줄이면 담낭의 움직임이 평상시보다 떨어지게 되고, 고지방 식단을 피하고 장기간 금식을 하는 등 과도하게 식단을 조절하는 경우에도 담즙 농도가 진해져 담즙 배출을 막거나, 담즙이 담낭에 고이면서 담석이 생길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의 증상과 진단

  • 급성 담낭염의 주요 증상
    심한 복통과 구토, 고열, 오한 등이 있다. 특히 오른쪽 윗배 통증이 심해 위경련이나 급체와 혼동하기 쉽고, 응급실을 찾을 만큼 통증 강도가 셀 수 있다. 복통은 보통 식사 후 1~2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특정 자세나 운동으로 완화되지 않는다. 복부를 살짝 두드리거나 호흡할 때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 급성 담낭염의 진단
    환자의 증상과 체질검사, 영상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체질검사에서는 염증 반응 지표인 백혈구 수치와 C-반응성단백질 (CRP) 수치가 상승하고, 간 기능 검사에서는 간효소와 총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영상검사에서는 초음파 검사나 전산화단층촬영 (CT) 검사를 통해 담석의 유무와 크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담낭의 벽이 두꺼워지거나 부종이 있거나, 담낭 주위에 액체가 쌓이는 경우도 급성 담낭염을 의심할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의 치료와 합병증

  • 급성 담낭염의 치료
    주로 수술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담석이 반복적인 통증과 황달이나 췌장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담석을 제거하기 위해 담낭 절제술을 하는 것이 좋다. 담낭 절제술은 복부를 절개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개복술과 복부에 작은 구멍을 뚫고 카메라와 기구를 이용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내시경적 담낭절제술 (Laparoscopic Cholecystectomy)이 있다. 내시경적 담낭절제술은 개복술에 비해 상처가 작고 회복이 빠르며 합병증 발생률도 낮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급성 담낭염의 합병증
    담낭 벽의 괴사나 천공, 담낭 주위의 농양, 간내담관염, 췌장염, 담석증 등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급성 담낭염의 치료가 늦어지거나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중증질환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급성 담낭염의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급성 담낭염의 예방법과 건강관리

급성 담낭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규칙적인 식사와 올바른 영양 섭취가 중요하다. 과도한 식이 다이어트는 피해야 하며, 고지방 음식이나 튀김, 고기 등은 적당히 섭취하고, 채소나 곡물 등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비만이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관리하고, 흡연과 음주를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담낭 절제술을 받은 후에는 특별한 식사 제한은 없으나, 처음 몇 주 동안은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섭취하고, 고지방 음식이나 튀김, 고기 등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하루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시고, 운동과 휴식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