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췌장은 소화와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췌장은 암이나 염증이 생겨도 초기에는 증상이 드러나지 않아 '침묵의 장기’라고도 불립니다. 췌장에 문제가 생기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췌장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췌장 건강에 해로운 음식
췌장은 소화를 돕는 췌장액을 분비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장기입니다. 췌장 건강을 위해서는 췌장에 부담을 주는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췌장에 해로운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지방 음식: 고지방 음식은 췌장에 많은 췌장액을 분비하게 하고, 췌장액의 흐름을 방해하며,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위험을 높입니다. 고지방 음식에는 버터, 치즈, 튀김, 고기, 과자 등이 있습니다.
- 고당 음식: 고당 음식은 혈당을 급격하게 상승시키고, 췌장에 인슐린을 과다하게 분비하게 합니다. 이는 췌장에 손상을 주고, 당뇨병이나 췌장암의 위험을 높입니다. 고당 음식에는 설탕, 사탕, 초콜릿, 탄산음료, 과일주스 등이 있습니다.
- 술: 술은 췌장에 염증을 일으키고, 췌장액의 흐름을 방해하며,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위험을 높입니다. 술은 췌장에 직접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당한 양으로만 섭취해야 합니다.
- 담배: 담배는 췌장에 염증을 일으키고, 췌장액의 흐름을 방해하며,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위험을 높입니다. 담배는 췌장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고, DNA 손상을 일으킵니다. 담배는 췌장 건강에 매우 해로우므로, 흡연을 피해야 합니다.
췌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
췌장 건강을 위해서는 췌장에 부담을 주지 않고, 췌장 기능을 지원하는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췌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단백 음식: 고단백 음식은 췌장에 췌장액을 적절하게 분비하게 하고, 췌장의 재생을 돕습니다. 고단백 음식에는 닭가슴살, 달걀, 우유, 요거트, 콩, 견과류 등이 있습니다.
- 고섬유 음식: 고섬유 음식은 혈당을 안정시키고, 췌장에 인슐린을 적절하게 분비하게 합니다. 고섬유 음식에는 채소, 과일, 쌀, 귀리, 보리, 귀리, 오트밀 등이 있습니다.
- 항산화 음식: 항산화 음식은 췌장에 산화스트레스를 줄이고, 췌장의 손상을 예방하고, 췌장암의 위험을 낮춥니다. 항산화 음식에는 토마토, 브로콜리, 케일, 산딸기, 블루베리, 감귤류 등이 있습니다.
- 수분 음식: 수분 음식은 췌장에 췌장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위험을 낮춥니다. 수분 음식에는 물, 녹차, 유자차, 생강차, 수박, 오이, 토마토 등이 있습니다.
췌장암의 증상과 진단
췌장암은 췌장에 악성 종양이 생기는 암입니다. 췌장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발견이 어렵습니다. 췌장암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통: 췌장암은 췌장 뒤쪽에 있는 경우가 많아, 복통이 등이나 허리로 전이될 수 있습니다. 복통은 식사와 관련이 없으며, 약이나 안정을 취해도 쉽게 가라앉지 않습니다.
- 황달: 췌장암은 췌장 머리 부분에 있는 경우가 많아, 담도를 압박하고 담즙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때 황달이 발생하며, 피부나 눈이 노랗게 변하고, 소변이 짙고, 대변이 밝아집니다.
- 체중감소: 췌장암은 췌장액의 분비를 감소시켜, 소화를 방해하고, 식욕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 체중감소가 발생하며, 근육량이 감소하고, 피로감이 증가합니다.
- 당뇨병: 췌장암은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켜, 혈당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 당뇨병이 발생하며, 목마름, 다뇨, 다식, 구강건조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췌장암의 진단은 췌장암의 증상이 있거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에 의사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췌장암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췌장암의 특이적인 지표는 아니지만, 췌장암과 관련된 혈액항목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에서는 췌장암의 종양표지자인 CA19-9, CEA, CA125 등을 검사합니다.
- 영상검사: 영상검사는 췌장암의 위치와 크기, 전이 여부, 담도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검사에서는 초음파검사,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췌장조영술(ERCP) 등을 사용합니다.
- 조직검사: 조직검사는 췌장암의 확진을 위해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조직검사는 췌장암의 세포를 채취하여 병리학적으로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조직검사에서는 내시경적 초음파검사(EUS), 내시경적 췌장담도조영술(ERCP), 복강경검사 등을 사용합니다.
췌장염의 증상과 치료
췌장염은 췌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췌장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뉩니다. 급성 췌장염은 갑자기 발생하고, 치료를 받으면 회복될 수 있습니다. 만성 췌장염은 장기간 지속되고, 췌장에 영구적인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췌장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통: 췌장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복통입니다. 복통은 주로 상복부 중앙이나 왼쪽에 발생하고, 심해지면 등이나 어깨로 전이될 수 있습니다. 복통은 식사와 관련이 있으며, 앉거나 앞으로 구부리면 완화될 수 있습니다.
- 구토: 췌장염은 췌장액의 분비를 감소시켜, 소화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때 구토가 발생하며, 식사 후에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구토는 체중감소와 탈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발열: 췌장염은 췌장에 염증을 일으키고, 감염이 합병될 수 있습니다. 이때 발열이 발생하며, 고열이나 오한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열은 췌장염의 심각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황달: 췌장염은 췌장 머리 부분에 있는 경우가 많아, 담도를 압박하고 담즙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때 황달이 발생하며, 피부나 눈이 노랗게 변하고, 소변이 짙고, 대변이 밝아집니다.
췌장염의 치료는 췌장염의 원인과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췌장염의 치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췌장염의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고, 췌장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약물 치료에서는 진통제, 항생제, 소화효소제, 인슐린 등을 사용합니다.
- 수액 치료: 수액 치료는 췌장염으로 인한 탈수를 보충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췌장에 산소공급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수액 치료에서는 정맥주사나 수액주입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합니다.
- 식이 치료: 식이 치료는 췌장에 부담을 줄이고, 췌장액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췌장의 휴식을 주는 데 도움을 줍니다. 식이 치료에서는 췌장염이 심할 때는 금식하거나 영양주사를 받고, 췌장염이 완화되면 저지방, 고단백, 고섬유의 음식을 섭취합니다.
- 수술 치료: 수술 치료는 췌장염의 원인이나 합병증을 제거하고, 췌장의 기능을 보존하고, 췌장염의 재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수술 치료에서는 췌장암이나 담석, 췌장낭종, 췌장괴사 등을 제거하거나, 췌장이식을 시행합니다.
반응형
'건강 이야기 > 당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환자를 위한 식품 가이드(1) -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는 음식 (1) | 2023.11.21 |
---|---|
적색육을 먹으면 당뇨병이 올까? -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의 놀라운 발견 (0) | 2023.11.20 |
식약처, 환자용 식품 표준제조기준 확대 (1) | 2023.11.11 |
대웅제약, 당뇨 신약 엔블로로 시장 선점 (0) | 2023.11.11 |
당뇨는 유전되는 걸까? 당뇨 예방과 관리 방법은? (0) | 2023.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