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은 구토와 설사, 복통, 탈수, 고열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데요, 심하면 병원에 입원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식중독에 걸렸을 때 음식을 먹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그럼 물만 마시면 되는 걸까요? 식중독 치료와 예방에 필요한 음료와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중독 치료에 필요한 음료는?
식중독에 걸리면 구토와 설사로 인해 체액과 전해질이 손실됩니다. 이를 보충하기 위해 수분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물만 마시는 것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물에는 전해질이 없기 때문에 체내에서 잘 흡수되지 않고, 오히려 더 많은 전해질을 잃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중독 환자는 포도당이나 전해질이 포함된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포도당이나 전해질이 있는 물은 순수한 물보다 흡수가 더 빠르기 때문에 탈수를 예방하고, 체내의 염분과 수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포도당이나 전해질이 있는 물은 끓인 물에 설탕이나 소금을 타서 마시거나, 시중의 이온 음료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과일 주스와 코코넛 물도 좋은 음료입니다. 과일 주스와 코코넛 물은 탄수화물을 보충하고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과일 주스는 신선한 과일을 직접 갈아서 만들거나, 산과 당의 비율이 적절한 상품을 구입해서 마시면 됩니다. 코코넛 물은 코코넛 열매 안에 있는 투명한 액체로, 칼륨과 나트륨 등의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식중독 치료에 필요한 음식은?
식중독에 걸리면 위장관의 기능이 약해져서 음식물을 잘 소화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소화가 잘 되고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식욕이 없거나 구토와 설사가 심할 경우에는 강제로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유동식으로 시작하고, 상태가 호전되면 부드러운 죽이나 음식으로 점차 넘어가면 됩니다. 식중독 치료에 좋은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쌀밥: 쌀밥은 소화가 잘 되고 에너지원으로 좋은 음식입니다. 보리, 현미, 콩 등의 잡곡보다는 부드러운 쌀밥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연한 육류, 생선, 두부, 계란: 이들 음식은 단백질의 공급원으로서 필요합니다. 단백질은 체액 및 전해질의 균형 유지와 조직의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기름진 육류나 튀김 등은 피하고, 삶거나 구운 것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잘 익힌 채소: 채소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식이섬유는 장운동을 돕고, 비타민과 미네랄은 면역력을 강화하고,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신선한 채소는 위장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잘 익힌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바나나: 바나나는 칼륨이 풍부한 과일로, 탈수와 전해질 손실을 보충하는데 좋습니다. 또한, 바나나에는 펙틴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는 설사를 완화하고 장내 유익균의 번식을 돕습니다.
- 요구르트: 요구르트는 유산균이 함유된 발효유로, 장내 유해균을 억제하고 유익균을 증식시켜 장건강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요구르트에는 칼슘과 단백질 등의 영양소도 들어있습니다. 단, 설탕이 많은 요구르트는 피하고, 천연 요구르트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 지켜야 할 것은?
식중독은 주로 음식물에 오염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음식물의 안전성과 위생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 지켜야 할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음식물의 구입과 보관: 음식물은 신선하고 깨끗한 것을 구입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것은 피합니다. 또한, 음식물은 적절한 온도와 습도에서 보관하고, 냉장보관이 필요한 음식물은 가능한 빨리 냉장고에 넣습니다. 또한, 생선회나 육류 등의 낮은 온도에서 저장되어야 하는 음식물은 얼음에 넣거나 얼려서 보관합니다.
- 음식물의 조리와 섭취: 음식물은 충분히 익혀서 조리하고, 남은 음식물은 가능한 빨리 냉장보관하거나 버립니다. 또한,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에 손을 깨끗하게 씻고, 공용 접시나 숟가락 등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장기간 보관된 음식물은 섭취하지 않습니다.
- 음식물의 분리와 청결: 음식물은 생과 조리된 것을 분리하여 보관하고, 다른 음식물과 접촉하지 않게 합니다. 또한, 음식물을 다루기 전에 도마, 칼, 접시 등의 도구를 깨끗하게 씻고, 음식물을 씻거나 깍을 때는 깨끗한 물을 사용합니다. 또한, 육류나 생선회 등의 음식물은 식중독균이 살아있을 수 있으므로, 잘 익히거나 얼려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외부에서의 식사: 외부에서 식사를 할 때에는 위생 상태가 좋은 식당을 선택하고, 음식이 잘 익혀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미리 만들어진 음식이나 장시간 방치된 음식은 피하고, 개인별로 접시와 숟가락을 사용합니다. 또한, 물은 끓인 물이나 생수를 마시고, 아이스크림이나 유제품 등의 음식은 신선한 것만 섭취합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지방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자! 건강한 다이어트와 운동 방법 (0) | 2023.07.23 |
---|---|
사골육수에 대장균? 식약처가 회수한 이 제품은 무엇일까? (0) | 2023.06.27 |
여름 다이어트 주의!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급성 담낭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6.24 |
손톱 물어뜯기, 머리카락 꼬기… 신경성 습관의 위험과 극복 방법 (0) | 2023.06.19 |
인삼을 오래 먹으면 치매가 멀어진다? (0) | 2023.06.17 |
댓글